반응형

뷰포트

 

뷰포트 설정
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al-scale=1.0">
</head>
<body>
.
.
.
</body>
    • width=device-width : 사용자가 접속하는 기기(디바이스)의 크기에 맞춰 뷰포트의 너비를 조종해준다.
    • width=device-height : 사용자가 접속하는 기기(디바이스)의 크기에 맞춰 뷰포트의 높이를 조종해준다.
    • inital-scale : 기본 스케일의 초기 배율. 1.0이 기본, 2.0이면 2배 확대, 0.5는 1/2로 축소
    • user-scalable : yes는 사용자가 화면 확대/축소 가능, no는 불가능. 기본값은 no
    • minimum-scale : 사용자가 축소할 수 있는 최소 축소값. 기본값은 0.25
    • maximum-scale : 사용자가 확대할 수 있는 최대 확대값. 기본값은 5.0

 

가변 그리드

: css에서 width%로 설정하여 웹페이지에서 화면의 크기가 달라짐에 따라 화면에 맞춰 달라지는 기능을 함

<style>
nav { 
	width : 25%;
    float : left;
}
section {
	width : 75%;
    float : left;
}
</style>
<body>
    <header> 주제 </header>
    <nav>
    	<ul>
            <li> 메뉴1 </li>
            <li> 메뉴2 </li>
            <li> 메뉴3 </li>
        </ul>
    </nav>
    <section> 콘텐트 내용 </section>
</body>

 

 

 

calc() 함수

:  가로방향으로 놓인 요소들 중 일부 요소만 반응형으로 만들어주는 함수

calc(100% - 같은 행에서 고정되는 요소의 픽셀 크기)

<style>
nav { 
	width : 100px;
    float : left;
}
section {
	width : calc(100% - 100px);
    float : left;
}
</style>
<body>
    <header> 주제 </header>
    <nav>
    	<ul>
            <li> 메뉴1 </li>
            <li> 메뉴2 </li>
            <li> 메뉴3 </li>
        </ul>
    </nav>
    <section> 콘텐트 내용 </section>
</body>

 

 

em 단위

: 글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 (스마트폰 위주의 글자 크기 단위)

1em = 16px

 

12열 그리드 시스템

: 하나의 행을 12개로 나누어 비율을 정할 때 사용하는 속성

<style>
* { margin:0; padding:0; box-sizing:border-box; }
.col_1 { width: 8.33% } 
.col_2 { width: 16.66% }
.col_3 { width: 25% }
.col_4 { width: 33.33% }
.col_5 { width: 41.66% }
.col_6 { width: 50% }
.col_7 { width: 58.33% }
.col_8 { width: 66.66% }
.col_9 { width: 75% }
.col_10 { width : 83.33% }
.col_11 { width : 91.66% }
.col_12 { width : 100% }
[class*="col_"] {
    float: left;
    padding: 15px;
}
</style>

 

[class*="col_"] 선택자 : 클래스 이름이 "col_"가 포함된 모든 요소를 선택자로 지정

아래 표는 <body> 태그에서 각 클래스로 지정하면 화면에 적용되는 예시

col_3 col_3 col_3 col_3
col_6 col_2 col_2 col_2
col_9 col_1 col_2
col_12

 

 

nth-child() 함수

: li 요소를 지정할 수 있다.

<style>
.main li { float: left; height: 200px }
.main li:nth-child(1) { backgroind-color: blue; }
.main li:nth-child(2) { backgroind-color: red; }
</style>
<body>
	<ul id="main">
         <li> 2번 내용 </li>
        <li> 2번 내용 </li>
    </lu>
</body>

 

 

미디어 쿼리 @media only screen and ( ) { }

: 웹과 앱의 화면 노출을 다르게 해줄때 사용하는 기능

아래는 웹(데스크톱)에서는 배경이 파랑(blue)으로 나오게, 스마트폰(600px미만 화면)에서는 빨강(red)으로 나오게 설정

<head>
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al-scale=1.0">
<style>
body { background-color: blue; }
@media only screen and (max-width: 600px) {
    body {
        background-color: red;
    }
}
</style>
</head>

 

 

선택자 ::after 

: float, clear를 사용할 때 해당 요소가 아닌 해당 요소 다음부터 기능을 적용시키는 설정

반응형

'STUDY > HTM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HTML/CSS] CSS 선택자  (0) 2025.05.14
[HTML/CSS] CSS 박스모델  (0) 2025.05.14
[HTML/CSS] CSS 속성  (0) 2025.05.14
[HTML] <input> 입력, 선택, 버튼  (0) 2025.04.30
[HTML] 경로이동 <a>  (0) 2025.04.25
반응형

태그 선택자

: <body> 태그에서 사용된 태그를 이용해 style 적용

태그 선택자를 사용하면 해당 html 모든 태그에 적용이된다.

 

아이디 선택자

: <body> 태그안에서 요소를 사용할 때 id 속성을 설정하고

<style> 태그에서 #id이름{} 형식으로 적용

아이디는 유일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. 유일한 식별자

 

클래스 선택자

: <body> 태그안에서 요소를 사용할 때 class 속성을 설정하고

<style> 태그에서 .class이름{} 형식으로 적용

클래스 선택자는 아이디선택자와 달리 여러 태그에 같은 이름의 class를 설정하고 동시에 적용할 수 있다.

 

전체 선택자

*  {}

 

하위 선택자

<style> 태그에서 css 작성 시 선택자 이름을 지정할 때 하위 선택자로 지정하는 방법이 있다.

하위 선택자는 띄어쓰기로 지정 가능하다.

<style>
#main h2 { 
    color:blue;
}
</style>
<body>
    <div id="main">
        <h2> 안녕 </h2>
    </div>
</body>

 

위 코드의 <style> 태그 내용은 "main"이라는 이름을 가진 아이디 하위에<h2> 태그를 선택자로 지정해 스타일을 적용한 것이다.

 

그룹 선택자

, 를 이용해 두 개 이상의 선택자를 한 번에 스타일 적용이 가능하다.

h2, #main h3 { color:blue; }

 

 

반응형

'STUDY > HTM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HTML] 반응형 화면 만들기  (0) 2025.05.16
[HTML/CSS] CSS 박스모델  (0) 2025.05.14
[HTML/CSS] CSS 속성  (0) 2025.05.14
[HTML] <input> 입력, 선택, 버튼  (0) 2025.04.30
[HTML] 경로이동 <a>  (0) 2025.04.25
반응형

마진(margin) - 경계선(border) - 패딩(padding) - html 요소

margin: 60px;
border: 경계선종류 선의굵기px 선의색상;
padding: 60px;

 

세 속성 모두 top, bottom, left, right 속성을 각각 설정 할 수 있다.

border-top: solid 1px red;
border-bottom: double 1px green;
border-left: solid 1px blue;
border-right: solid 1px pink;

 

margin

마진 초기화 

<style>
* { margin: 0; }
</style>

-> * (모든요소) 마진을 0 으로 설정

 

마진(margin), 패딩{padding) 속성

margin:20px;
margin:10px 20px 30px 40px;
margin: 20px 10px;

 

  • 속성을 따로 하지 않고 px 하나만 입력시 한 번에 설정하면 네 방향 모두 같은 값이 적용된다.
  • 속성을 따로 하지 않고 4개의 px 입력시 top-right-bottom-left 순서로 적용된다.
  • 속성을 따로 하지 않고 2개의 px 입력시 앞px은 상하단, 두번째 px은 좌우측 픽셀로 지정한다.

박스를 중앙에 배치하는 css 코드

margin: 0 auto;
  • 위 같이 0 auto 는 상하는 0, 좌우측은 자동으로 가운데로 배치

 

border

경계선 종류

  • solid : 실선
  • dotted : 점선
  • dashed : 파선
  • double : 이중

 

둥근 모서리 : border-radius

border-radius: 10px;
  • 숫자가 커질수록 더 둥글게

 

박스 그림자 : box-shadow

box-shadow : 5px 5px 10px 색상

순서대로

  • 박스의 우측방향 크기
  • 박스의 아래방향 크기
  • 그림자의 흐림 정도
  • 박스 그림자의 색상
반응형

'STUDY > HTM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HTML] 반응형 화면 만들기  (0) 2025.05.16
[HTML/CSS] CSS 선택자  (0) 2025.05.14
[HTML/CSS] CSS 속성  (0) 2025.05.14
[HTML] <input> 입력, 선택, 버튼  (0) 2025.04.30
[HTML] 경로이동 <a>  (0) 2025.04.25
반응형

CSS 기본 구조

  • css 는 기본적으로 head 태그 안에 <style> 태그를 생성에 그 안에서 실행
  • <body> 태그에서 작성한 태그, id, name 등을 활용해 스타일 내용을 입력
  • 주석 : /* 주석내용 */
<!DOC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style>
p {
    color:green;
}
</style>
</head>
<body>
	<p> 안녕하세요 </p>
</body>

 

CSS 의 속성

 

글자 색상 : color

color:색상이름;
  • 색상 이름 ( red, green, pink 등) 을 입력해도 되고 색상 코드(#ffffff) 를 입력해도 됨

 

글자 크기 변경 : font-size

font-size:숫자px;
  • 기본 : 16px

 

글꼴 설정 : font-family

font-femily:'글꼴 이름';
  • 글꼴 이름은 ' ' (작은 따옴표) 안에 적으며, '돋움', '굴림', 맑은고딕', '바탕' 등 사용 가능한 글꼴 이름을 적용하면 됨.

 

글자 스타일 설정 : font-weight

font-weight:bold;
  • normal : 기본 글자 (<h1>, <h2> 태그처럼 기본 설정이 두꺼운 글씨를 기본 두께로 바꾸는데 사용)
  • bold : 글자 볼드체 (두껍게)
  • italic : 글자 이탤릭체 (기우러지게)
  • underline : 글자에 밑줄

 

글자 정렬 : text-align

text-align:center;
  • left (왼쪽, 기본), center(가운데), right(오른쪽)

 

줄간격 설정 : line-height

line-height:150%
  • 기본 줄 간격 : 150%
  • 줄간격을 늘리면 상하 줄 간격이 늘어남

 

글자 그림자 : text-shadow

text-shadow:숫자px 숫자px 숫자px 색상이름

오른쪽부터 순서대로

  • 오른쪽 그림자 길이 (값이 커질수록 글자와 그림자가 멀어진다.)
  • 아래쪽 그림자 길이 (값이 커질수록 글자와 그림자가 멀어진다.)
  • 흐린 정도 (값이 커질수록 그림자가 더 흐려진다.)
  • 그림자 색상 (그림자의 색상만 적용)

으로 구성

 

링크 글자 : a 태그 활용

a:link { color:green; text-decoration: none;}
a:visited { color:green; text-decoration: none; }
a:hover { color:red; text-decoration: underline; }
a:active { color:gray; text-decoration: underline; }
  • a:link : 처음 초기 글자 상태
  • a:visited : 한 번 클릭 후 글자 상태
  • a:hover : 마우스를 글자 위에 올렸을 때의 상태
  • a:active : 클릭 당시의 상태

text-decaration : 링크에 밑줄 여부 결정하는 속성

 

배경 색상 설정 : background-color

background-color:색상이름;

 

 

배경 이미지 : background-image

background-image:url("./img/img1.png");

 -> 기본적으로 배경이미지는 반복됨

 

배경이미지 반복 설정 속성 : background-repeat

 background-repeat : no repeat;
 background-positoiin: right top;
  • no repeat : 반복되지 않음
  • repeat-x : 수평방향으로 반복
  • repeat-y : 수직방향으로 반복

backgroud-position 속성 값

  • left top
  • center top
  • right top
  • left center
  • center center
  • right center
  • left bottom
  • center bottom
  • right bottom

<il> 태그, list 관련 태그에 적용되는 css 속성

list-style-type:none; => 리스트 앞에 동그란 표시 없애는 코드

 

table 태그 꾸미는 css 속성

 

  • boder-collapse: collapse; => 기본 이중선으로 나오는 테이블 구조를 단일 경계선으로 바꾸기
  • table, th, td { border: solid 1px #cccccc; } => 테이블의 테두리, 행과 열의 경계선 설정
  • table {border-top: solid 2px green; } => 테이블 상단에 색상이 있는 줄 표시로 하나의 테이블 시작 표시
  • th { padding: 10px; background-color:#eeeeee; } => 테이블 컬럼명 (가장 윗줄)의 속성
  • td { padding: 10px; text-align : center; } => 값들의 글자 모두 가운데 정렬
  • width, height : 너비, 높이 설정

 

display 속성 : 글자의 자리를 부여

  • inline : 기본 구조로, 개행(enter)<br>을 설정하지 않는다면 개행 없이 각 태그 요소드리 가로 방향으로 나열된다.
  • block : 행 전체에 자리를 부여해서 글자가 행을 모두 사용하지 않아도 한 행을 해당 태그가 모두 차지한다.
  • inline-block : inline, block 두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음. 앞뒤 글자들과 가로 정렬이 되지만, 해당 요소만 block 속성 저ㄱ용됨.
  • none : 글자가 보이지 않음.

 

 

float 속성

: float는 공중에 뜨다 라는 뜻,

이 스타일을 적용한 요소를 공중에 띄우기 때문에 요소가 속한 상위 태그 밖에서 출력이된다.

(보통 아래에 배치된다.)

float:left;
float:right;
  • left : 왼쪽에 배치
  • right : 오른쪽에 배치

clear 속성

: 위에서 사용한 float 속성을 무력화하는 속성

  • 윗 요소에 float 속성이 적용된 상태에서 그 밑줄 요소에 clear 속성을 적용하면 float는 적용되지 않는다.
  • float가 적용된 요소는 따로 빠져나와 맨 아래에 배치가 되지만, 다음 요소에서 clear를 사용하면 다시 원래대로 돌아와 순서대로 배치된다.
<style>
h2 { float: left; }
p { clear: both; }
</style>
</head>
<body>
    <div>
        <h2> 윗줄에 올 글 내용 </h2>
        <p> 아랫줄에 올 글 내용 </p>
    </div>
</body>
  • clear : left;  이전에 사용된 float:left 기능 해제
  • clear : right;  이전에 사용된 float:right 기능 해제
  • clear : both; 이전에 사용된 모든 float 기능 해제

 

레이아웃 태그

<header> : 상단 헤더
<aside> : 사이드바 <section> : 메인콘텐츠
<footer> : 하단 푸터

 

<nav> : 메뉴 태그

<article> : section 태그 안에 작은 콘텐츠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
반응형

<input>

type

text : 일반 텍스트 입력

 

password : 비밀번호로 텍스트로 표기되지 않고 입력

 

radio : 동그란 선택버튼 (중복선택불가)

 

checkbox : 네모난 선택버튼 (중복선택 가능)

 

checked : 기본적으로 체크 되어있는 값

 

submit : 저장하고 다른곳으로 값을 보냄

 

button : 단순한 버튼

 

reset : 다시쓰기

 

file : 파일을 선택할 수 있는 속성

 

속성 

value : 미리 입력된 값

autofocus : 입력창을 클릭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포커싱 되어있게 만들어주는 속성

readonly : 값을 입력할 수 없다.

disabled : 비활성화

placeholder : 입력값 힌트 (기본적으로 회색으로 표기)

 

선택박스

<select>

<option>

 

 

textarea : 긴 글 텍스트 입력

cols : 가로 너비 (가로로 쓸 수 있는 글자 갯수) 속성

rows : 세로 너비 (줄의 갯수) 속성

 

<table> : 테이블

<tr> : 한 행

<th> : 열의 제목

    colspan : 열을 합치는 속성

<td> : 열의 내용

    rowspan : 행을 합치는 속성

 

 

반응형

'STUDY > HTM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HTML/CSS] CSS 박스모델  (0) 2025.05.14
[HTML/CSS] CSS 속성  (0) 2025.05.14
[HTML] 경로이동 <a>  (0) 2025.04.25
[HTML] 리스트 태그 (목록 태그) <ul>, <ol>, <li>, <dl>, <dt>, <dd>  (0) 2025.04.25
[HTML] src 삽입의 경로  (0) 2025.04.25
반응형
<a href="sub.html"> 'sub'로 이동 </a><br>
<a href="https://www.tistory.com" target="_blank"> 티스토리 사이트로 이동 </a><br>

-> 글씨를 클릭하면 작업중인 다른 경로, 절대경로 모두 이동 가능

-> target="_blank" : 새로운 창을 열어서 경로를 띄워주는 속성

 

<a href="sub2.html"><img src="sub2.png"></a>

-> 이미지를 클릭하면 'sub2' 파일로 경로를 이동하는 코드

반응형
반응형

순서가 없는 리스트 <ul>, <li>

<ul>
<li> 첫번째 리스트 </li>
<li> 두번째 리스트 </li>
<li> 세번째 리스트 </li>
</ul>

결과

  • 첫번째 리스트
  • 두번째 리스트
  • 세번째 리스트

 

순서가 있는 리스트 <ol>, <li>

<ol>
<li> 첫번째 순서 </li>
<li> 두번째 순서 </li>
<li> 세번째 순서 </li>
</ol>

결과 :

1. 첫번째 순서

2. 두번째 순서

3. 세번째 순서

 

 

정의 리스트 <dl>, <dt>, <dd>

<dl>
    <dt> 첫번째 정의할 개념 </dt>
    <dd> 첫번째 정의하는 설명 </dd>
    <dt> 두번째 정의할 개념 </dt>
    <dd> 두번째 정의하는 설명 </dd>
</dl>

결과:

첫번째 정의할 개념

    첫번째 정의하는 설명

두번째 정의할 개념

    두번째 정의하는 설명

 

 

반응형

'STUDY > HTM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HTML/CSS] CSS 속성  (0) 2025.05.14
[HTML] <input> 입력, 선택, 버튼  (0) 2025.04.30
[HTML] 경로이동 <a>  (0) 2025.04.25
[HTML] src 삽입의 경로  (0) 2025.04.25
[HTML] 시각 자료 삽입 태그 ( img, audio, video, iframe )  (0) 2025.04.23
반응형

상대경로

<img src="file.png">

-> 이미지가 현재 작업중인 html파일과 같은 폴더 안에 있을 때

 

<img src="./img/file.png">

-> ./ : 현재 작업중인 html 파일이 들어있는 폴더 안에

-> img/ : 'img'폴더 안에 이미지가 있을 때

 

<img src="./img/img2/file.png">

-> ./ : 현재 작업중인 html 파일이 들어있는 폴더 안에

-> img/ : 'img'폴더 안에

-> img2/ : 'img2'폴더 안에 이미지가 있을 때

<img src="../file.png">

-> ../ : 현제 작업중이  html 파일이 들어있는 폴더의 이전 폴더 안에 이미지가 있을 때

 

 

절대경로 

<img src="C:/source/img/file.png">

-> 현재 작업중인 기기의 C드라이브 안에서 파일경로를 가져온 경우

--> 파일 경로는 실제 파일의 속성에서 가져올 수 있다.

 

<img src="http://web.com/img/file.png">

-> 도메인 주소 안의 파일 안에서 이미지 파일을 가져온 경우

반응형
반응형

이미지 <img>

속성

  • title: 마우스 커서를 올렸을 때 나오는 글
  • src : 이미지 파일
  • width : 가로 넓이
  • height : 세로 크기
  • 이미지 파일 포맷  : jpg, png, gif, ,svg(확대시 깨짐없음)

 

오디오 <audio>

속성

  • src : 오디오 파일 명
  • controls : 화면에플레이어 표시하기
  • autoplay : 자동재생 (크롬은 지원 안함)
  • loop : 무한반복

비디오 <video>

속성

  • src
  • width
  • height
  • controls
  • autoplay
  • loop

아이프레임< iframe>

  • src
  • width
  • height
  • border:none => 테두리 삭제

 

 

 

 

반응형

'STUDY > HTM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HTML/CSS] CSS 속성  (0) 2025.05.14
[HTML] <input> 입력, 선택, 버튼  (0) 2025.04.30
[HTML] 경로이동 <a>  (0) 2025.04.25
[HTML] 리스트 태그 (목록 태그) <ul>, <ol>, <li>, <dl>, <dt>, <dd>  (0) 2025.04.25
[HTML] src 삽입의 경로  (0) 2025.04.25
반응형

반응형

+ Recent posts